Stable Diffusion/ComfyUI

[ComfyUI] ComfyUI img2img 사용법

lucKipyo 2023. 12. 19. 23:5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ComfyUI의 img2img 사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단 제가찾아보고 실제로 해본 img2img의 전체적인 구조는 이렇습니다 

 

txt2img 와의 차이점

 

워크 플로우에  Empty Latent Image를 Load Image 로 바꾸고 VAE Encode 라는 부분이 추가되어서 사용된다는점

 

사용방법

Load Image 추가

 

다른 노드들과 마찬가지로 더블클릭 후 Load Image 추가를 진행하면됨.

아래 사진은 기본적으로 불러오면 자동으로 사용되는 사진

이미지 바꾸고 싶다면 드래그하던가 파일 찾아서 바꿔주면된다

 

VAE Encode 노드 추가

 

더블클릭 후 우측에 보이는 VAE Encode를 추가

이게 하는 일이 앞에 입력 받은 이미지를 latent image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함

참고로 출력에는 전에도 계속 사용하던 VAE Decode가 사용된다.

 

Denoise 값 설정

 

KSampler의 Denoise 값 설정을 해준다 너무 낮으면 원본이미지와 유사해지고 높으면 원본이미지에서 멀어진다고 생각하면됨

 

Denoise값 참고 예시(0.4, 0.5로 지정)

 

Denoise값 참고 예시(0.6, 0.65, 0.7로 지정)

 

사진 결과를 보면 알겠지만 모델이나 이미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denoise 값이 낮으면 Load Image에 넣은 이미지와 유사해진다는 것은 알수 있음

 

img2img를 통해 나온 이미지 예시

 

그럼 다음에 또 다른 내용으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